728x90 재테크53 [경매 대항력]내가 사는 집에 근저당이 설정됐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항력을 취득함에 있어서 근저당이나 기타 압류 등의 등기가 설정되는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공부하고서는 임대차 계약을 맺을 때 특약사항 설정이라던가 혹은 등기부 등본을 계약시 그리고 잔금 시에도 철저하게 확인해야 한다는 것을 느끼실 것입니다. 내가 전세로 살집을 계약했는데, 어??? 이상하네 근저당이 설정되어 있네요? 그럼 이에 대한 내용을 사례로 알아보는데 근저당(저당, 압류, 가압류 등도 포함)의 설정 시기에 따라서 대항력이 어떻게 달라지느냐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입신고 전 시기보다 앞선 근저당 설정 - 아파트를 계약할 때는 분명 등기부 등본이 깨끗했습니다. 그런데 잔금을 치고서 등기부를 확인해 보니 이게 웬걸 OO은행에서 근저당을 설정한.. 2020. 11. 19. [경매] 엉뚱한 주소로 전입신고를 한 경우에는 어떻게 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흔히 임대차 계약을 하고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는데, 특히나 전입신고를 할 때 착오를 일으켜서 엉뚱한 주소로 전입신고를 한 경우에 대항력 인정여부는 어떻게 되냐의 문제입니다. 이렇게 주소를 엉뚱하게 전입신고 하였다가 바른 주소로 다시 하는 것을 특수 주소 변경이라고 합니다. 특수 주소 변경에는 여러가지 케이스가 있으니 각 사례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 공부상 호수와 현황상 호수를 오인한 경우 - 보통 지하층도 있는 다세대 빌라의 경우에는 대부부 B1층 이라고 표시하지만 간혹가다가 지하층부터 101호라고 표시하고 1층을 201호 라고 호수를 부여하는 곳이 있습니다. 물론 이곳의 등기부에는 지하층과 지상층이 명백하게 나눠져 있습니다. 1층 101호로 되어 있으며, 지하층은 B1호라고 되.. 2020. 11. 19. [경매 배당요구] 경매진행 중 집의 배당되는 보증금은? 이번 시간에는 경매 절차 중 거의 막바지 절차라 할 수 있는 배당절차 중 배당 요구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질문을 올리시는데, 과연 나는 배당신청을 해야 하는가? 아니면 배당신청을 안해도 배당을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냥 쉽게 생각해서 생각하기 어려우면 이상하게 인터넷에 물어보지 말고 해당 경매계에 전화해 보시면 가장 빠릅니다. (허무한가요? ^^) 그래도 경매계 직원도 바쁜지라 가끔 혼동이 올 수 있으니 질문할때 하더라도 우리가 먼저 학습하고 질문하는 편이 낫겠지요? ^^ 그렇다면 지금 부터 배당요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배당요구란? - 배당요구란 집행채권자에 의하여 개시된 법원경매절차에 참가하여 매각대금에서 변제를 받으려는 .. 2020. 11. 18. [임차권 등기 명령] 이사가야 하는데 소유주가 보증금을 안 줄때? 이번 시간에는 전, 월세를 사시는 임차인들을 위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이건 비단 경매뿐아니라 공매, 그리고 일반적 부동산 임대차 계약에서 많이 쓸 수 있는 방법으로 소개해드릴 내용은 임차권 등기명령 제도입니다. 우선 임차권 등기 명령제도가 무엇인지 알아보아야 하겠지요? 1. 임차권 등기 명령 - 임차인이 임대차 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이사 가게 된다면 종전에 취득하였던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이 상실되므로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차권 등기 명령 제도를 두게 되었는데 임차권 등기를 하게 되면 임차인의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을 유지하면서 임차했던 건물에서 자유롭게 이사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2. 임차권 등기를 할 수 있는 곳 - .. 2020. 11. 18.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 728x90